자료구조를 확인할 때에도 type()를 사용한다.
menu = {"커피", "우유", "주스"}
print(menu)
print(type(menu))
실행결과 |
![]() |
set -> list 변환
menu = list(menu)
print(menu, type(menu))
실행결과 |
![]() |
list -> tuple 변환
menu = tuple(menu)
print(menu, type(menu))
실행결과 |
![]() |
'Programming 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기본 문법(7): 제어문 - 조건문(if), 반복문(for, while), range() (0) | 2024.07.18 |
---|---|
[Python] 기본 문법(6): random 모듈 - shuffle(), sample() (0) | 2024.07.18 |
[Python] 기본 문법(4): 자료구조 - 튜플, 세트 (0) | 2024.07.18 |
[Python] 기본 문법(3): 자료구조 - 리스트, 딕셔너리 (0) | 2024.07.16 |
[Python] 나도코딩 파이썬 입문 - 문풀 Part4.6~5 (0) | 2024.07.16 |